https://neuralacademic.tistory.com/100
0100 - 24.04.08. 화
https://neuralacademic.tistory.com/99 0099 - 24.04.07. 월https://neuralacademic.tistory.com/98 0098 - 24.04.06. 일https://neuralacademic.tistory.com/97 0097 - 24.04.05. 토https://neuralacademic.tistory.com/96 0096 - 24.04.04. 금https://neuralacadem
neuralacademic.tistory.com
2. 편집 기법: 관객을 능동적 해석자로 만드는 전략
① ‘확대’(blow-up)라는 행위의 구조화
- 사진을 확대하며 살인 사건의 단서를 포착하는 장면은, 사실 편집의 입장에서 보면 일종의 **‘프레임의 재편집’**입니다.
- 이미지를 확대하면 할수록 더 선명한 것이 아니라, 더 불확실한 것이 드러납니다.
- 이것은 편집이 ‘진실을 밝히는 도구’가 아니라, 진실의 모호성을 부각하는 수단이라는 점을 말합니다.
② 극단적 롱테이크와 느린 컷 전환
- 토마스가 공원을 걷는 장면, 스튜디오를 배회하는 장면 등은 컷을 최소화하고 시간의 흐름을 거의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.
- 이런 롱테이크는 감정의 리듬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, 정지된 순간을 견디게 만드는 정서적 실험입니다.
- 그 결과 관객은 단순한 ‘감정 이입자’가 아니라, 의식적으로 화면을 읽어내는 존재가 됩니다.
③ 결말의 ‘무(無)’와 비현실적 편집
- 마지막 장면에서 보이지 않는 테니스공을 쫓는 장면은 현실의 인과를 거부하고, 편집의 논리를 붕괴시킵니다.
- 이는 현실이 아니라 인식이 진실을 구성한다는 메시지를, 편집 그 자체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.
요약: 안토니오니의 형식·편집은 영화 자체를 ‘생각하는 도구’로 만든다
- 그는 관객에게 단순한 이야기나 감정을 전달하려 하지 않습니다.
- 오히려 ‘이미지를 통해 인식하고 해석하는 과정’ 자체를 체험하게 만듭니다.
- 형식적으로는 서사의 흐름을 해체하고, 편집적으로는 시각적 집중을 통해 감정이 아닌 사유를 이끌어냅니다.
- 결국 Blow-Up은, 보는 것과 아는 것 사이의 간극을 실험하는, 매우 지적인 영화입니다.
더 깊이 들어가자면, 앤디 워홀식 팝 아트 감각, 1960년대 모더니즘 사조, 혹은 동시대 고다르와 비교해 형식주의 분석도 가능합니다. 원하시는 방향 있으실까요?
https://sportsarchive.tistory.com/22
알렉산더 오베치킨, 그레츠키 제치고 NHL 역사상 최다 골 기록 달성
2025년 4월 6일, NHL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가 세워졌다. 워싱턴 캐피털스의 알렉산더 오베치킨(Alexander Ovechkin)이 뉴욕 아일랜더스와의 경기에서 통산 895번째 골을 기록하며 웨인 그레츠키(Wayne Gretzk
sportsarchive.tistory.com
https://blog.naver.com/pinpoinformation/223827844315
충격적인 결단: 덴버 너기츠, 플레이오프 직전 말론 감독과 부스 단장 전격 해임
덴버 너기츠가 2025년 NBA 플레이오프를 불과 3경기 앞둔 시점에서 마이클 말론 감독과 칼빈 부스 단장...
blog.naver.com
https://blog.naver.com/pinpoinformation/223826964962
2024-2025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1차전 결과 : 아스날, 인테르 승리
2024-2025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1차전이 한국시간 4월 9일 수요일 새벽 4시에 열린 두 경기가 펼쳐졌...
blog.naver.com
https://savinghumanities.tistory.com/180
윤리학 15. 롤스의 정의론과 정치·윤리 결합
현대 정치철학의 지형도를 완전히 바꾸어 놓은 존 롤스(John Rawls, 1921-2002)의 『정의론(A Theory of Justice)』은 1971년 출간 이후 윤리학과 정치철학의 경계를 새롭게 정의했다. 롤스는 20세기 중반까지
savinghumanities.tistory.com
https://savinghumanities.tistory.com/166
윤리학 1. 윤리학의 정의와 범주
윤리학이란 무엇인가?윤리학은 인간 행위의 옳고 그름, 선과 악, 의무와 가치에 관한 철학적 탐구 분야다. 단순히 도덕적 규칙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, 그 규칙들의 근거와 정당성, 적용 범위를
savinghumanities.tistory.com
https://savingsocialscience.tistory.com/151
발달심리학 1. 발달심리학의 개요와 역사
발달심리학이란 무엇인가?발달심리학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성장과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다. 단순히 아동기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태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모든 생애 주
savingsocialscience.tistory.com
https://savingsocialscience.tistory.com/165
발달심리학 15. 현대적 통합과 응용 - 다중 이론 비교 및 시사점
지금까지 우리는 발달심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하나씩 살펴보았다.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부터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,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,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, 그리고 브론
savingsocialscience.tistory.com
'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03 - 24.04.11. 금 (0) | 2025.04.11 |
---|---|
0102 - 24.04.10. 목 (0) | 2025.04.10 |
0100 - 24.04.08. 화 (0) | 2025.04.08 |
0099 - 24.04.07. 월 (0) | 2025.04.07 |
0098 - 24.04.06. 일 (0) | 2025.04.06 |